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딥러닝
- 딥러닝파이썬
- 소프트맥스함수
- C언어 알고리즘
- 신경망
- 달고나bof
- 활성화함수파이썬
- BOF
- FTZlevel10
- 보안
- 백준알고리즘
- 정보보안
- 8086CPU레지스터
- c언어
- 항등함수
- 밑바닥부터시작하는딥러닝
- C언어알고리즘
- 버퍼오버플로우
- BOJ
- 파이썬신경망
- 파이썬
- 인공지능
- 신경망파이썬
- 신경망구현
- 신경망 학습
- 알고리즘
- 백준
- C알고리즘
- 머신러닝
- 스트림암호
- Today
- Total
목록<Information Security> (31)
HeeJ's
제로데이라는 키워드는 알고 있었지만, 정확한 내용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었다. 하지만, 종종 보안 관련 뉴스를 찾아보는데, 이번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학교와 직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줌' 프로그램에서 제로데이 약점도 발견됐다고 하여 이에 대해 자세히 찾아보게 되었다. 일단, 줌에서 발견된 제로데이 공격은 이 공격 하나만으로 최초 침투는 어렵다고 보고 있으며, 이미 침투된 PC에 이 공격을 감행하게 된다면, 루트 권한을 탈취한다고 한다. 탈취하는 방법은 바이너리를 runwithroot 스크립트를 포함하도록 조작한다고 한다. 1. 제로데이 공격? - 특정 SW에서 아직 패치되지 않은 취약점을 이용한 해킹의 통칭 -> 해당 취약점에 대한 대책이 아직 없기 때문에 공격을 막을 수 없다. 2. 제로데이 ..
01. 엣지 컴퓨팅? "사물과 사람이 정보를 생산하거나 소비하는 엣지에 가깝게 위치한 분산 컴퓨팅 토폴로지의 일부" - 클라우드 컴퓨팅의 문제점(데이터 처리 속도, 용량 및 보안 등)을 해결하고자 탄생 - 분산된 개방형 IT 아키텍쳐로서 분산된 처리 서능 제공 -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가까운 위치에서 컴퓨팅 서비스를 처리하는 것 -> 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 데이터가 데이터 센터로 전송되는 대신, 장치 자체 또는 로컬 컴퓨터나 서버에 의해 처리 02. 엣지 컴퓨팅의 사례 - 가상/증강 현실에서 긴 시간 지연 문제 해결 -> 사용자의 몰입 방해 -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 엣지 컴퓨팅 - 공장 내 온도와 습도 조절 - 기계 별 가동 현황 실시간 파악, 효율..
1. 클럭 펄스란? 컴퓨터 등의 디지털 시스템에서 동일한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각 구성 요소의 모든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자적인 펄스 논리 상태 1과 0, H와 L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신호의 주파수 컴퓨터 내부의 각 장치와 회로의 동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 형태 2. 클럭(Clock)? HW적으로 PC는 물론 각종 디지털 시스템의 전자 회로나 정치를 말한다. 또, 같은 시스템 안에서 동작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모든 동작을 동기화해서 어떤 목적을 위해 움직이도록 시간을 조절하는 것 PC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장비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출처 1. https://hylo.tistory.com/entry/%ED%81%B4%EB%9F%AD-%ED%8E%..
1. 데이터 3법이란? 데이터 이용을 활성화하는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약칭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약칭: 신용정보법)등 3가지 법률을 통칭한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자원인 데이터의 이용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 이에 관한 규제 혁신과 개인정보 보호 협치(거너번스) 체계 정비의 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3법 개정안이 발의됐다.('18.11.15) 데이터 3법 개정안은 2020년 1월 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고, 법률 개정안 주요내용은 - 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가명정보 개념 도입 - 관련 법률의 유사, 중복 규정을 정비하고 추진체계를 일원화하는 등 개인정보 보호 협치(거버넌스) 체계의 효율화 - 데이터 활용에 따른 개인..
01. 디지털 트윈? 컴퓨터에 현실 속 사물의 복제품 만들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결과를 미리 예측하는 기술.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송하는 사물 인터넷의 센서 덕분에 가능해졌다. 다양한 물리적 시스템의 구조, 맥락, 작동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정보의 조합으로, 과거와 현재의 운용 상태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02. 사례 - 우주 탐험 초기, 나사(NASA)는 디지털 트윈 기술 이전 단계인 페어링 기술로 우주에 직접 가지 않고도 시스템 가동과 유지 보수 등을 할 수 있었다. - 외과 의사나 의료 전문가들은 실제 환자 대신 환자와 신체 장기의 디지털 트윈에 실습해 볼 수 있다. - 싱가포르의 디지털 트윈을 통해 도시 계획자들이 에너지 소비의 효율성을 ..
1. 개념 심층 학습 또는 딥 러닝 사람의 사고방식을 컴퓨터에게 가르치는 기계학습의 한 분야 딥러닝은 인공 신경망의 일부, 인공신경망은 머신 러닝의 일부이고, 머신 러닝은 인공 지능의 일부가 된다. 즉, 딥러닝 ⊂ 인공 신경망 ⊂ 머신 러닝 ⊂ 인공 지능이 된다.ㄷ 인공 신경망을 여러 겹 층층이 쌓아 연결한 인공 신경망 기법 딥러닝이 다시 유행하게 된 이유 인공 신경망의 한계를 극복하는 알고리즘 + 하드웨어의 발달 + 빅 데이터 수용 2. 성과 정확한 음성 인식 정확한 이미지 분류, 인식 필기 인식 TTS (Text To Speech) 변환 디지털 비서 자율 주행 능력 광고 타켓팅 바둑 3. 강점, 약점 데이터가 많아질 수록 성능의 지속적인 향상 출력 노드에 데이터가 추가되면 전체 학습 데이터를 다시 학..
1. 딥페이크(deepfake)란? https://youtu.be/xn39Iw92zjo 딥러닝과 페이크의 합성어로, 인공 지능 기술을 활용해 기존에 있던 인물의 얼굴이나, 특정한 부위를 영화의 CG처리처럼 합성한 영상편집물 또는 이를 만드는 과정 2017년 미국의 레딧 사이트에서 '딥페이크스'라는 가명을 가진 회원이 여러 개의 가짜 포르노 비디오를 올렸고, 그 중에 영화배우 들의 딥페이크 콘텐츠가 주목을 받으며 등장 이 때의 방식은 주로 기존 영상에 유명인의 얼굴을 덧입히는 방법으로 제작되었으며, 케라스나 텐서플로 같은 오픈소스 이용 그가 사용한 데이터들은 일반적으로 구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활용한 것으로, 누구나 쉽게 딥페이크 영상을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고, 레딧의 이 회원 아이디에서 딥페이크라는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