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보안
- 머신러닝
- 알고리즘
- 소프트맥스함수
- C언어알고리즘
- 신경망구현
- C알고리즘
- 백준
- 활성화함수파이썬
- BOF
- 신경망 학습
- FTZlevel10
- 버퍼오버플로우
- 신경망파이썬
- 딥러닝
- 파이썬신경망
- c언어
- 밑바닥부터시작하는딥러닝
- 정보보안
- BOJ
- C언어 알고리즘
- 항등함수
- 8086CPU레지스터
- 파이썬
- 백준알고리즘
- 딥러닝파이썬
- 신경망
- 인공지능
- 달고나bof
- 스트림암호
- Today
- Total
HeeJ's
[03] DFS/BFS 본문
탐색(search)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
대표적인 탐색 알고리즘 : DFS/BFS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기본적인 자료구조인 스택, 큐에 대한 이해 필요
자료구조(Data Structure)
데이터를 표현하고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한 구조
기초 개념 : 스택, 큐
핵심 함수
삽입(push) : 데이터를 삽입한다.
삭제(pop) : 데이터를 삭제한다.
* 오버플로우(Overflow) : 특정 자료구조가 수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가득 찬 상태에서 삽입 연산 수행 시 발생
언더플로우(Underflow) : 특정 자료구조에 데이터가 들어있지 않은 상태에서 삭제 연산 수행 시 발생
스택(stack)
후입선출(Last In First Out) 구조
초기단계 [ , , , , ]
push(5) [ 5, , , , ]
push(2) [ 5, 2, , , ]
push(3) [ 5, 2, 3, , ]
push(7) [ 5, 2, 3, 7, ]
pop() [ 5, 2, 3, , ]
push(4) [ 5, 2, 3, 4, ]
push(1) [ 5, 2, 3, 4, 1 ]
pop() [ 5, 2, 3, 4, ]
pop() [ 5, 2, 3, , ]
파이썬 코드로 표현
stack = []
stack.append(5)
stack.append(2)
stack.append(3)
stack.append(7)
stack.pop()
stack.append(4)
stack.append(1)
stack.pop()
stack.pop()
print(stack) #[5, 2, 3]
print(stack[::-1]) #[3, 2, 5]
파이썬에서 스택을 이용할 때는 별도의 라이브러리가 필요가 없음
큐(Queue)
선입선출(First In First Out) 구조
초기 단계 []
push(5) [ 5 ]
push(2) [ 5, 2 ]
push(3) [ 5, 2, 3 ]
push(7) [ 5, 2, 3, 7 ]
pop() [ 2, 3, 7 ]
push(4) [ 2, 3, 7, 4 ]
push(1) [ 5, 2, 3, 4, 1 ]
pop() [ 2, 3, 4, 1 ]
pop() [ 3, 4, 1 ]
파이썬 코드로 표현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큐(Queue) 구현을 위해 deque 라이브러리 사용
queue = deque()
queue.append(5)
queue.append(2)
queue.append(3)
queue.append(7)
queue.popleft()
queue.append(4)
queue.append(1)
stack.popleft()
stack.popleft()
print(queue) #deque([3, 4, 1])
queue.reverse()
print(queue) #deque([1, 4, 3])
deque 라이브러리가 queue 라이브러리르 이용하는 것 보다 효율적이고 간단하다.
deque 객체를 리스트 자료형으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list() 메소드 이용
재귀 함수(Recursive Function)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함수
ex.
def recursive_func():
print('재귀 함수를 호출합니다.')
recursive_func()
recursive_func()
재귀 함수를 문제 풀이에서 사용될 때는 종료 조건을 꼭 명시해야 함
ex. 재귀 함수를 100번 호출
def recursive_func(i):
# 100번째 출력했을 때 종료되도록 종료 조건 명시
if i == 100:
return
print(i, '번째 재귀 함수에서',i+1,'번째 재귀 함수를 호출합니다.')
recursive_func(i + 1)
print(i, '번째 재귀 함수를 종료합니다.')
recursive_func(1)
컴퓨터 내부에서 재귀 함수의 수행은 스택 자료구조를 이용함
== 스택 자료구조를 활용해야하는 상당수 알고리즘은 재귀 함수를 이용해서 구현될 수 있음
ex. DFS
DFS(Depth-First Search)
깊이 우선 탐색
그래프에서 깊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
인접 행렬(Adjacency Matrix) : 2차원 배열로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
인접 리스트(Adjacency List) : 리스트로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
인접 행렬(Adjacency Matrix) 방식 : 2차원 배열에 각 노드가 연결된 형태를 기록하는 방식
연결된 그래프를 인접 행렬로 표현할 때 파이썬에서는 2차원 리스트로 구현할 수 있다.
(연결되지 않은 노드끼리는 무한의 비용이라고 작성한다.)
INF = 999999999 #무한의 비용 선언
# 2차원 리스트를 이용해 인접 행렬 표현
graph = [
[0, 7, 5],
[7, 0, INF],
[5, INF, 0]
]
print(graph) #[[0,7,5],[7,0,999999999],[5,999999999,0]]
인접 리스트(Adjacency List) 방식 : '연결 리스트'라는 자료구조를 이용해 구현
리스트 자료형이 append()와 메소드를 제공하므로, 단순히 2차원 리스트를 이용
ex. 그래프를 인접 리스트 방식으로 처리할 때 데이터를 초기화한 코드
# 행(Row)이 3개인 2차원 리스트로 인접 리스트 표현
graph = [[] for _ in range(3)]
# 노드 0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노드, 거리)
graph[0].append((1, 7))
graph[0].append((2, 5))
# 노드 1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노드, 거리)
graph[1].append((0, 7))
# 노드 2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노드, 거리)
graph[2].append((0,5))
print(graph) #[[(1, 7), (2, 5)], [(0, 7)], [(0, 5)]]
위의 두 방식의 차이(메모리와 속도 측면) :
1. 메모리 측면
인접 행렬 방식 - 모든 관계를 저장하므로 노드 개수가 많을수록 메모리 낭비
인접 리스트 방식 - 연결된 정보만을 저장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
(그렇기 때문에 특정한 두 노드가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는 속도가 더 느리다.)
dfs 예제
# DFS 메서드 정의
def dfs(graph, v, visited):
# 현재 노드를 방문 처리
visited[v] = True
print(v, end=' ')
# 현재 노드와 연결된 다른 노드를 재귀적으로 방문
for i in graph[v] :
if not visited[i] :
dfs(graph, i, visited)
# 각 노드가 연결된 정보를 리스트 자료형으로 표현 (2차원 리스트)
graph = [
[],
[2, 3, 8],
[1, 7],
[1, 4, 5],
[3, 5],
[3, 4],
[7],
[2, 6, 8],
[1, 7]
]
# 각 노드가 방문된 정보를 리스트 자료형으로 표현(1차원 리스트)
visited = [False] * 9
# 정의된 DFS 함수 호출
dfs(graph, 1, visited)
# 1 2 7 6 8 3 4 5
BFS(Breadth First Search)
'너비 우선 탐색'
가까운 노드부터 탐색하는 알고리즘
구현 시 선입선출 방식인 큐 자료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정석
인접한 노드를 반복적으로 큐에 넣도록 작성하면 가까운 노드부터 탐색을 진행
실제로 구현할 때 deque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탐색을 수행함에 있어 O(N)의 시간이 소요
일반적인 경우 실제 수행시간은 DFS 보다 좋은 편이다.
알고리즘의 동작 방식
[1] 탐색 시작 노드를 큐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한다.
[2] 큐에서 노드를 꺼내 해당 노드의 인접 노드 중에서 방문하지 않은 노드를 모두 큐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한다.
[3] [2]번의 과정을 더이상 수행할 수 없을 때 까지 반복한다.
dfs 예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BFS 메서드 정의
def dfs(graph, start, visited):
# 큐(Queue) 구현을 위해 deque 라이브러리 사용
queue = deque([start])
# 현재 노드를 방문 처리
visited[start] = True
# 큐가 빌 때까지 반복
while queue:
# 큐에서 하나의 원소를 뽑아 출력
v = queue.popleft()
print(v, end=' ')
# 해당 원소와 연결된, 아직 방문하지 않은 원소들을 큐에 삽입
for i in graph[v]:
if not visited[i]:
queue.append(i)
visited[i] = Ture
# 각 노드가 연결된 정보를 리스트 자료형으로 표현(2차원 리스트)
graph = [
[],
[2,3,8],
[1,7],
[1,4,5],
[3,5],
[3,4],
[7],
[2,6,8],
[1,7]
]
# 각 노드가 방문된 정보를 리스트 자료형으로 표현(1차원 리스트)
visited = [False] * 9
# 정의된 BFS 함수 호출
bfs(graph, 1, visited)
# 1 2 3 8 7 4 5 6
'<Algorithm>_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동적 프로그래밍 (0) | 2021.11.28 |
---|---|
[05] 이진 탐색 (0) | 2021.11.17 |
[4] 정렬 (0) | 2021.11.09 |
[02] 구현(Implementation) (0) | 2021.10.12 |
[01] 그리디 (greedy) 알고리즘 (0) | 2021.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