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신경망
- 항등함수
- FTZlevel10
- 머신러닝
- 알고리즘
- 스트림암호
- BOJ
- 딥러닝파이썬
- 백준알고리즘
- 신경망파이썬
- 신경망 학습
- 활성화함수파이썬
- 달고나bof
- 파이썬신경망
- 파이썬
- 밑바닥부터시작하는딥러닝
- 보안
- 버퍼오버플로우
- BOF
- 신경망구현
- C알고리즘
- c언어
- 백준
- 소프트맥스함수
- C언어 알고리즘
- 정보보안
- 인공지능
- C언어알고리즘
- 8086CPU레지스터
- 딥러닝
- Today
- Total
HeeJ's
[04] Buffer Overflow의 이해 :: BOF 본문
버퍼(buffer)?
시스템이 연산 작업을 하는데 있어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데,
여기서 사용되는 그 저장공간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는 버퍼를 스택에 생성한다.
스택은 함수 내에서 선언한 지역 변수가 저장되고, 함수가 끝나면 반환된다.
buffer overflow는 미리 준비된 버퍼에 버퍼의 크기보다 큰 데이터가 들어갈 때 발생하게 된다.
ex) 40바이트의 스택이 있다.
41~44바이트의 데이터가 들어간다면 이전 함수의 base pointer를 수정하게 될 것이다.
45~48바이트의 데이터가 들어간다면 return address가 저장되어있는 공간을 침범할 것이다.
48바이트 이상을 쓰게 된다면 return address를 포함한 그 이전 스택에 저장된 데이터마저 바뀔 것이다.
시스템에게 명령을 간접적으로 내릴 수 있는 부분은 return address가 있는 위치이다.
return address는 현재 함수의 base pointer 바로 위에 위치한다.
ret 명령을 수행하게 되면 eip 레지스터에 return address가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return address를 직접 변경하지 않는다면 이 값이 EIP에 들어있을 것이다.
따라서, buffer overflow는 공격자가 메모리 상의 임의의 위치에 원하는 코드를 저장하고 return address가 저장되어 있는 지점에 그 코드의 주소를 집어 넣음으로써 EIP에 공격자의 코드가 있는 곳의 주소를 들어가게 해 공격을 하는 방법이다.
이 때, 정확히 return address가 저장되는 곳을 찾아 return address도 정확히 조작해주어야 한다.
strncpy()는몇 바이트를 저장할지 지정해주지만
strcpy()함수는 길이 체크를 해주지 않기 때문에 NULL(\0)을 만날 때 까지 복사한다.
출처:
달고나 bof pdf
'<Information Security> >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File Integrity Operator (0) | 2022.01.24 |
---|---|
[05] Byte Order :: BOF (0) | 2020.09.13 |
[03] 어셈블리어 :: BOF (0) | 2020.09.10 |
[02] CPU 레지스터 구조 :: BOF (0) | 2020.08.30 |
[01] 메모리 구조 :: BOF (0) | 2020.08.29 |